아마존 CloudFront의 HTTPS DNS 레코드 지원 기능 소개
최근 AWS는 전 세계 CloudFront 엣지 로케이션 기준으로 Amazon Route 53에서 HTTPS 리소스 레코드 지원을 시작했습니다. 이제 클라이언트는 DNS 조회 단계에서 HTTPS DNS 레코드를 통해 미리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 이것은 성능과 보안 측면에서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업데이트로,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그 이점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CloudFront HTTPS DNS 레코드 기능 개요
HTTPS DNS 레코드는 전통적인 A, AAAA 레코드 외에 클라이언트에게 리소스 엔드포인트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 특히, 이 기능은 클라이언트가 HTTP 연결을 시도하기 전에 CloudFront 배포가 지원하는 HTTP 프로토콜 버전, 포트 등의 정보를 DNS를 통해 미리 전달해줍니다.
이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불필요한 RTT(Round-Trip Time) 없이 선호하는 HTTP 프로토콜(예: HTTP/3)을 선택해 초기 연결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, 이는 지연 시간 감소와 보안 향상으로 이어집니다.
활용 사례 및 기대 효과
예를 들어, CloudFront 배포에서 HTTP/3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, 클라이언트는 기존 방식대로 HTTP/1.1 혹은 HTTP/2로 기준 연결 후 다시 협상할 필요 없이 처음부터 HTTP/3로 연결 가능합니다. 이는 특히 네트워크 인프라가 제한적인 지역에서 애플리케이션 응답시간을 현저히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.
또한, Route 53을 사용하는 고객은 HTTPS 타입의 레코드 쿼리를 CloudFront alias 레코드를 통해 무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, DNS 비용 절감도 가능합니다.
자동화된 배포와 구성 가이드
이 HTTPS 리소스 레코드는 AWS CLI, Terraform, CloudFormation 등의 자동화 인프라 도구를 통해 설정 및 배포가 가능하여 기존 DevOps 파이프라인에 손쉽게 통합할 수 있습니다. CloudFront와 Route 53 구성 시, HTTPS 타입의 레코드를 정의하고 우선순위를 설정하면 효과적인 트래픽 라우팅이 가능해집니다.
타 DNS 솔루션과의 비교에서도 AWS의 HTTPS 레코드 방식은 엣지 로케이션 네트워크의 탄탄한 기반 위에서 빠른 DNS 응답과 트래픽 최적화를 제공합니다. 중국(베이징, 닝샤)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지원되며, 글로벌 서비스를 준비하는 기업에 적합합니다.
결론
최근 발표된 CloudFront의 HTTPS DNS 레코드 지원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향상, 보안 연결의 간소화, 그리고 비용 절감이라는 세 가지 핵심 혜택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기능입니다. 특히, 다중 프로토콜 지원이 중요한 SaaS 기업이나, 글로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탁월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. 자동화된 배포 가이드를 통해 손쉽게 도입 가능한 이 기능으로 경쟁력 있는 IT 인프라를 구축해보세요.
AI, Cloud 관련한 문의는 아래 연락처로 연락주세요!
(주)에이클라우드
이메일 : acloud@a-cloud.co.kr
회사 번호 : 02-538-3988
회사 홈페이지 : https://www.a-cloud.co.kr/
문의하기